- 디지털 Cafe [회원토크] [새소식]
대만, 美 '반도체 생산 절반 이전' 요구 거부
대만 정부가 미국의 ‘반도체 생산 절반을 미국 내에서 담당하라’는 제안을 공식 거부했다. 미국은 자국 내 공급망을 강화해 지정학 리스크를 줄이려 했지만, 대만은 자국 반도체 생태계를 전략 자산으로 지키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2일(현지시간) 타임스오브인디아(Times of India)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행정부는 최근 대만과의 협의에서 글로벌 반도체 공급 안정과 중국 견제를 위해 대만 반도체 생산량의 50%를 미국으로 이전하라고 제안했다. 이는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반도체를 미국 내에서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그러나 대만 정부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대만 경제부는 반도체가 자국 경제의 핵심 산업이자 국가 안보의 기반이라고 강조하며, 전체 생산 비중을 절반까지 이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현재 대만은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인 TSMC를 중심으로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른바 '실리콘 실드(Silicon Shield)' 전략으로 국제사회에서 독자적 지위를 확보해왔다.
물론 대만은 미국과의 협력 자체를 부정하지 않는다. 이미 TSMC는 애리조나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생산기지를 건설하고 있으며, 첨단 공정 라인을 단계적으로 현지화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생산량의 절반을 이전하는 것은 생태계 자체를 붕괴시킬 수 있다는 판단이다. 반도체 산업은 단순히 팹(Fab) 건설로 해결되지 않는다.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공급망, 연구개발, 전문 인력, 클러스터 기반의 협력 네트워크까지 얽힌 초정밀 생태계다. 이를 무리하게 분할하면 효율성과 안정성 모두 흔들릴 수 있다.
독립적 생태계를 지키겠다는 대만의 태도는 ‘산업 주권’ 수호로 해석된다. 대만 정부 관계자는 대만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허브로서 책임을 다하고 있으며 미국과 협력은 지속하겠지만, 산업 주권은 훼손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미국은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차단하고 공급망을 동맹 중심으로 재편하려 하고 있다. 대만 역시 반도체를 전략적 방패로 활용하며 중국과의 군사적 긴장도 관리하고 있다. 대만이 미국 요구를 그대로 수용한다면 '실리콘 실드'가 약화되고, 대만의 국제적 협상력이 줄어들 수 있다. 반대로 미국과의 협력을 지나치게 거부한다면 중국과의 지정학적 압박에 취약해진다. 대만이 '균형 협력'을 강조하는 이유다.
한편, 이번 사안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글로벌 메모리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은 이미 '반도체지원법(CHIPS Act)'를 통해 한국 기업들에 미국 내 투자와 생산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대만이 '50% 이전' 요구를 거부한 것처럼, 한국도 산업 주권과 글로벌 공급망 협력 사이에서 전략적 줄타기를 이어가야 한다.
출처 : 디지털데일리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추천 & 별점을 평가해주세요.
회원 공개(외부 비공개) | Y |
---|
-
다음 레벨 121680pt - 총 획득 118608pt ( 필요 3100pt |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