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투데이 [새소식] [새소식]
“하루에만 1조원 쓴다”…자고 일어나면 커지는 간편결제 시장, 경쟁 점입가경

[사진 출처 = 연합뉴스]날로 커지는 국내 간편결제 시장을 놓고 업체 간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카드는 금융감독원에서 애플페이 약관 심사 승인을 받았다. 업계 2위(연간 당기순이익 기준) 신한카드가 애플페이를 탑재해 국내에 서비스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이 조성된 셈이다. KB국민카드도 애플페이 도입과 관련해 금감원에 약관 심사를 신청한 후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애플페이를 적용한 현대카드에 이어 도입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당국 고위 관계자는 “잠재 고객을 확보하고 소비자 편익을 높이기 위해 애플페이를 도입하려는 카드 업체가 늘고 있다”며 “상당수 2030세대가 아이폰을 쓰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조사 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애플의 국내 스마트폰 판매 점유율은 39%로 1년 새 4%포인트 늘며 삼성전자(60%)와 격차를 좁혔다. 지난해 한국갤럽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대 중 64%가 아이폰을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플랫폼 업체들도 은행·카드 등 금융사와 손잡고 적극적으로 고객 기반을 넓히고 있다. 최근엔 스테이블코인(원화·달러 등 법정 화폐 가치와 연동된 가상자산) 기반 결제까지 가세하며 시장 주도권을 쥐기 위한 경쟁에 나섰다. 간편결제 시장은 지난해 하루 평균 9594억원 규모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앞으로도 더 늘어날 것이란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금 결제가 급감하고 전자 상거래가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금융사들이 사업 확장 가능성이 큰 페이 시장에서 성장동력을 찾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국내 플랫폼 업체들도 시중은행과 동맹을 맺고 영토를 확장하거나 인수·합병(M&A)을 통해 몸집 불리기에 나섰다.
금융권에 따르면 네이버페이는 최근 NH농협은행과 손잡고 전방위적인 협력에 나섰다. 두 회사는 하나로마트에서 네이버 안면인증결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NH투자증권과 연계해 네이버페이에서 주식 간편매매도 추진한다. 또 농협은행은 네이버페이를 활용해 취약계층 바우처 사업과 교통카드와 관련한 공동 사업까지 논의하고 있다. NH멤버스포인트와 네이버포인트를 상호 교환하는 방안도 세부적으로 협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