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벨 | 글쓴이가 전체공개한 글 입니다. |
---|
추가 : 맥 먼저 설치 할 때 디스크유틸리티에서 윈도우 설치할 파티션을 맥저널링으로 포멧 후 윈도우 설치할때 ntfs로 포멧하면 Hybrid Mbr 이 생성 안된다는군요.
예전에 여유공간으로 하고 설치했었는데 fat32 포멧한뒤 윈도우를 EFI 방식으로 설치할때 왜 mbr이 있다고 안깔린다냐... 하고 있었네요.
https://www.x86.co.kr/successtip/1122769
위 방법으로 하면 파티션 지저분하게 하지 않으려는 취지가 어긋나네요.
윈도우 설치시 맥저널링으로 포멧한 파티션을 ntfs로 포멧 할 수 없군요.
파티션 삭제하고 ntfs로 포멧하면 되는데 윈도우 리커버리 파티션등 자동으로 만들어서 파티션이 지저분해 지는군요.
그래서 맥먼저 설치 할 때 윈도우 설치할 파티션을 FAT32로 포멧하고 Hybrid Mbr만 삭제하는게 깔끔하겠네요.
------------------------------------------------------------------------------------------------
SSD 120GB 에 제가 사용하는 방법 끄적여 봅니다.
다른분들 설치하는 방법이 스크롤 압박이 심해 보여서 한번 써보려고 하는데 짧게 되려나 모르겠네요.
방법 A. 맥 먼저 설치 - O/S 설치 할 하드디스크를 제외한 모든 하드 전원 분리
1. 맥 설치 이미지로 부팅.
2.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파티션 2개 만들기 선택, GPT 선택
첫번째 파티션 Windows - 크기 55GB, FAT32 포멧 - 윈도우 설치 할 파티션
두번째 파티션 Macintosh HD - 크기 나머지, 맥저널링 포멧
3. 디스크유틸리티를 닫고 맥파티션에 설치
4. 설치 끝나고 재부팅 후 맥으로 부팅해서 설치 마무리(사용자 비밀번호 꼭 입력 - 윈도우처럼 스킵하면 나중에 곤란함)
재부팅...................
5.Hybrid Mbr 삭제방법.
> sudo -s
> diskutil list -- 작업할 파티션 번호 확인 -- 다른 하드디스크 모두 제거했으니 0번...
> fdisk -e /dev/disk0 -- 디스크유틸리티에서 확인한 하드디스크 번호
> p -- 하이브리드 MBR이 있는지 확인 - 있다면 파티션 정보가 나옵니다.
------------------------------------------------------------------------
Disk: /dev/disk0 geometry: 15566/255/63 [250069680 sectors]
Offset: 0 Signature: 0xAA55
Starting Ending
#: id cyl hd sec - cyl hd sec [ start - size]
------------------------------------------------------------------------
1: EE 1023 254 63 - 1023 254 63 [ 1 - 409639] <Unknown ID>
2: AF 1023 254 63 - 1023 254 63 [ 409640 - 150734216] HFS+
3: AB 1023 254 63 - 1023 254 63 [ 151143856 - 1269536] Darwin Boot
4: 07 1023 254 63 - 1023 254 63 [ 152414208 - 97654784] HPFS/QNX/AUX
------------------------------------------------------------------------
이런식으로 파티션 정보가 나옵니다.
> erase -- 하이브리드 MBR 삭제
> edit 1
Partition id ('0' to disable) [0 - FF]: [0] (? for help) ee
Do you wish to edit in CHS mode? [n] --- 기본값으로 엔터
Partition offset [0 - 250069680]: [63] 1
Partition size [1 - 250069679]: [250069679] --- 기본값으로 엔터
> p -- 하이브리드 MBR이 있는지 확인
------------------------------------------------------------------------
Disk: /dev/disk0 geometry: 15566/255/63 [250069680 sectors]
Offset: 0 Signature: 0xAA55
Starting Ending
#: id cyl hd sec - cyl hd sec [ start - size]
------------------------------------------------------------------------
1: EE 0 0 2 - 1023 254 63 [ 1 - 250069679] <Unknown ID>
2: 00 0 0 0 - 0 0 0 [ 0 - 0] unused
3: 00 0 0 0 - 0 0 0 [ 0 - 0] unused
4: 00 0 0 0 - 0 0 0 [ 0 - 0] unused
------------------------------------------------------------------------
지워졌다면 mbr 파티션 정보가 아무것도 안나옴.
> w
> y
> q
6. 윈도우 설치 이미지로 UEFI 부팅
7. 디스크유틸리티로 만들어 놓은 Windows 파티션을 ntfs로 포멧 후 윈도우 설치
8. 윈도우 설치가 끝나면 맥으로 부팅 후 클로버 설치
9. EFI 파티션이 뜨면 클로버 설정파일, kext, dsdt 등을 복사하고 재부팅 - 끝
Hybrid Mbr 참고 링크
http://apple.stackexchange.com/questions/54993/how-do-i-delete-a-bootcamp-partition-using-terminals-diskutil
방법 B. 윈도우 먼저 설치 - O/S를 설치할 하드를 제외한 다른 하드디스크는 모두 전원 분리 합니다.
1. EFI 설치가 지원되는 윈도우 설치 이미지로 부팅
2. 부팅해서 나오는 첫 화면에서 Shift + F10 눌러서 커맨드 모드로 변경
3. 파티션 - 여기서 파티션 작업을 안하면 윈도우가 파티션을 지저분하게 만듭니다. MSR 같은.....
> diskpart
> list disk -- 작업할 디스크 번호 확인 - 디스크 크기를 보고 판단. 다른 하드디스크 모두 분리했다면 0번이 작업할 하드가 맞을겁니다.
> sel disk 0 -- 위에서 확인한 하드디스크 번호 입력
> clean -- 하드디스크 초기화 - 하드디스크 정보 싹 지워지니 미리 백업.
> con gpt -- gpt로 변경
> cre par efi size=200 -- EFI 파티션 만들기
> format fs=fat32 label="EFI" -- fat32 로 포멧
> cre par pri size=60000 -- SSD 120GB 기준으로 이정도 윈도우 파티션 크기 지정
> assign letter C -- 생략 해도됨. 크게 중요하지 않음.
> format fs=ntfs label="Windows" quick
> cre par pri -- 나머지 몽땅 맥을 설치 할 파티션으로..
> exit
> exit
이렇게 하고 만들어 놓은 Windows 파티션에 윈도우 설치하고
4. 맥 설치 이미지로 부팅.
5.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두번째 파티션을 맥저널링으로 포멧하고 맥설치
6. 설치가 끝나면 클로버를 UEFI 전용으로 설치
7. 클로버 설치 후 EFI 파티션이 뜨면 클로버 설정파일, kext, dsdt 등을 복사하고 재부팅 - 끝
no | 퓨리온님의 최근 게시물 | 추천 | 조회 |
---|---|---|---|
1 | 영문 WinPE 에 한글입력기 설치방법 아시는분? 1 | 0 - 0 | 65 |
2 |
우리동네 잘나가는 오빠 사진...
10
![]() |
3 - 0 | 208 |
3 |
10.13.4 에서 추출한 apfs.efi 입니다.
20
![]() |
5 - 0 | 1143 |
No | 제목 | 추천 | 닉네임 | 조회 |
---|---|---|---|---|
|
[퍼옴] Common Problems in 10.13 High Sierra 8 | 14-0 | 1094 | |
|
클로버 컨피규레이터 기본 사전 17.09.07 58 | 55-0 | 3363 | |
|
입문자를 위한 x86 안내서 110 | 65-0 | 68080 | |
487 | 메인보드 6 | 1-0 | 756 | |
486 | 커맥팁 10 | 2-0 | 1243 | |
485 | 메인보드 3 | 2-0 | 643 | |
484 | 커맥팁 4 | 3-0 | 487 | |
483 | 그래픽 4 | 0-0 | 490 | |
482 | 메인보드 6 | 2-0 | 1399 | |
481 | 메인보드 4 | 4-0 | 1199 | |
480 | 커맥팁 5 | 1-0 | 1673 | |
479 | 커맥팁 7 | 5-0 | 7517 | |
478 | 커맥팁 2 | 3-0 | 650 | |
477 | 커맥팁 7 | 4-0 | 1567 | |
476 | 메인보드 19 | 4-0 | 1797 | |
475 | 사운드 4 | 2-0 | 930 | |
474 | 사운드 9 | 1-0 | 792 | |
473 | 커맥팁 HOT 10 | 18-0 | 2572 | |
472 | 그래픽 31 | 3-0 | 2696 | |
471 | CPU 5 | 2-0 | 596 | |
470 | 커맥팁 HOT 11 | 16-0 | 11348 | |
469 | 메인보드 3 | 6-0 | 1569 | |
468 | 메인보드 4 | 3-0 | 1383 | |
467 | 커맥팁 6 | 2-0 | 1071 | |
466 | 메인보드 | 3-0 | 979 | |
465 | 커맥팁 HOT 45 | 15-0 | 4587 | |
464 | 그래픽 8 | 0-0 | 335 | |
463 | 메인보드 3 | 3-0 | 1247 | |
462 | 메인보드 7 | 1-0 | 557 | |
461 | 메인보드 4 | 7-0 | 2132 | |
460 | 그래픽 20 | 9-0 | 4583 | |
459 | 메인보드 HOT 31 | 28-0 | 7003 | |
458 | 커맥팁 24 | 9-0 | 7091 | |
457 | 사운드 3 | 0-0 | 577 | |
456 | 커맥팁 4 | 2-0 | 759 | |
455 | 메인보드 3 | 0-0 | 832 | |
454 | 커맥팁 19 | 5-0 | 1106 | |
453 | 커맥팁 HOT 26 | 17-0 | 3356 | |
»»» | 커맥팁 HOT 30 | 18-0 | 4064 | |
451 | 메인보드 5 | 1-0 | 549 | |
450 | 커맥팁 2 | 0-0 | 604 | |
449 | 커맥팁 6 | 4-0 | 1669 | |
448 | 커맥팁 HOT 92 | 24-0 | 7586 | |
447 | 사운드 2 | 0-0 | 1182 | |
446 | 커맥팁 9 | 3-0 | 439 | |
445 | 커맥팁 4 | 4-0 | 2005 | |
444 | 커맥팁 32 | 8-0 | 1986 | |
443 | 커맥팁 9 | 2-0 | 493 | |
442 | 커맥팁 4 | 0-0 | 638 | |
441 | 그래픽 3 | 2-0 | 481 | |
440 | 커맥팁 3 | 2-0 | 597 | |
439 | 커맥팁 1 | 0-0 | 930 | |
438 | 그래픽 4 | 1-0 | 9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