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들어가면서
제 커맥은 2500K 4790K 그리고 현재의 8700에 이르렀습니다.
사실 2500k/4790K 를 사용할때까지 내장그래픽은 제관심사가 아니었죠. 퀵싱크 기술이 무르익기전이어서 큰의미가 없었고
나름 당대의 괜찮은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면서 내장그래픽은 항상 죽여놓은 상태였으니까요
당대 대세 CPU로 XEON E3 들이 커맥계를 종횡한 이유도 같은것이었다 생각됩니다.
그러나 현 세대에와서 퀵싱크가 진보하고 HEVc H265도 일상화되면서 (아이폰, 최신갤럭시폰 4k 영상촬영 코덱등) 인텔 내장그래픽은 의미가 커져서 활용이 필수적이 되었습니다
OSX는 물론, FinalCut X 를 비롯한 편집프로그램도 내장그래픽의 QUICK SYNC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있습니다.
또한 OSX의 Quick Sync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Quick Sync 를 배제하면 Preview에서 JPG파일이 않보인다거나 잠자기등 각종 기능에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런상황에서 많은 초보 커맥커들이 iGPU셋팅에 어려움을 격고있고,
현재 질문게시판에 가장 질문이 많이 나오는 사항중에 하나가 내장그래픽 관련이되었습니다.
많은 액팔고수분들이 글을 남겨주셨지만 아직 어려움을 겪는분들도 많은듯 하고
심지어는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배포되기도 하는 상황이라 생각하고 같은 초보 입장에서 가능한한 쉽게 정리하여 Step by Step 방식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2.내장그래픽의 Quick Sync 란 무엇인가 ?
2010년에 처음 소개된 기술로 샌디브릿지 칩셋부터 적용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퀵 싱크 비디오는 CPU에 내장된 하드웨어 회로를 통해 재생(Decoding) 뿐만 아니라 인코딩까지 지원 하며 CPU의 부담을 줄여주어
전력관리 및 열관리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현재 HEVC(H265)코덱을 커맥에서 하드웨어 가속으로 돌리려면 사실상 유일한 선택지 이기도 합니다.
H264/H265 관련 성능만 보면 맥미니 8.1이 아이맥프로보다 더 우월한 성능을 보여주는것도 Quick Sync 덕분이지요.
그러므로 영상/사진 편집을 하시는분 뿐만아니라, 커맥상에서 영화를 감상하고 폰으로 찍은 사진, 영상들을 정리하시는분
혹은 그저 웹서핑이나 유튜브등을 즐기는 라이트 유저까지 더 나은 성능과 저전력 발열관리를 위해 Quick Sync 기술의 적용은 필수라 하겠습니다.
세대별 성능을 보면
샌디브릿지-하스웰리플레쉬 까지는 H264만을
브로드웰 칩셋은 H264 De/Encoding 을 지원하고 HEVC(H265)는 Decoding만을
스카이레이크 칩셋은 H264 De/Encoding 을 지원하고 HEVC(H265)는 8비트 까지 De/Encoding을 지원합니다
( i3-i7까지 같은 성능의 코덱지원/16384x16384 까지 사진이미지 하드웨어 인코딩지원)
카비레이크 칩셋부터 H264 De/Encoding 을 지원하고 HEVC(H265)는 10비트 까지 Decoding 8비트까지 Encoding을 지원합니다.
상기 세대별 성능을 참조하셔서 iGPU를 활성화하여 Quick Sync 를 사용할지 아닐지를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만 제경험으로는 하스웰리플레쉬인
i7 4790K 에서도 Quick Sync 를 적용하자 체감 성능 향상이 있었습니다 (그동안 사용못한게 억울 ㅠ,.ㅠ)
특히 스카이레이크 부터는 i3에서 i7까지 같은 성능을 제공(낮은 성능의 CPU 사용자일수록 필수)하고 JPG등 정지화상에 대한 가속도 지원하니 필수사용 되겠습니다.
3. 헤드레스 모드란 무엇인가 ?
리얼맥을 그래픽 카드 기준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내장 그래픽만 있는 기종군 : Mac Mini, macbook, macbook Air, Macbook Pro 13" 및 구형 Macbook Pro 15" 기본형
2) 외장 그래픽만 있는 기종군 : XEON CPU를 사용하는 프로기종 Mac Pro 2013, iMacPro 2017
3) 내외장 그래픽을 갖추고 내외장 그래픽칩을 수동선택 혹은 자동으로 전환시킬수있는 기종군 : Macbook Pro 15"
4) 내외장 그래픽을 갖추었으나 그 선택 가능하지않은 기종 군 : iMAC
이중 4항 아이맥을 헤드레스(Headless)라 보시면 될듯합니다.
3항 맥북프로들은 About This Mac - System Report - Graphics 를 보시면 Intel UHD 630 과 RX580pro 가 모두 표시되나
아이맥들은 오직 외장그래픽만 표시됩니다. 내장그래픽칩과 연결된 비디오포트가 존재치않으며 내장그래픽은 오직 퀵싱크 가속 역할만을 담당합니다
모니터는 외장그래픽 칩과 연결된 비디오 포트를 통해 신호를 출력합니다.
(imac 2014 Late CTO)

커맥에서 헤드레스모드는 바로 4항의 아이맥 기종들을 모사하는 모드입니다.
그러므로 헤드레스모드로 잘 설치된 커맥도 아이맥과 같은 특성을 보여 줍니다
(커맥 i7 8700 + AMD RX580)

이에 반해 리얼맥북은 iGPU의 framebuffer를 활성화하고 LCD 가 iGPU 로 연결되어있음을 알수있습니다

dGPU는 그래픽 연산에서 iGPU를 지원하는거죠 (모니터 연결이 없다고 나옵니다)
4.왜 헤드레스 모드인가 ?
1) 설정이 간단합니다.
a. 내장그래픽의 출력 포트들은 메인보드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초보입장에서 이 다양한 포트들에 적절한 Framebuffer를 설정하는것은 쉽지않습니다
b. 다양한 메인보드의 포트가 상이함으로 초보입장에선 똑같은 메인보드로 설정된 레퍼런스를 찾기 어렵습니다 (베끼기 어렵습니다 ^^)
c. 헤드레스 모드는 내장그래픽과 연결된 메인보드의 포트들을 모두 비활성화 하기에 설정이 쉽습니다 (살리기보다 죽이기가 쉬운법이지요)
2) 구조적으로 우리 커맥에 가장 유사한 iMac 을 모사함으로서 잠재적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Headless Mode가 아닌 FullframeBuffer 를 사용, 메인보드의 Video출력 단자를 사용하는 방법도 Quick Sync 를 활용하능합니다만
이 포스팅에선 다루지 않겠습니다.
5. 헤드레스 모드로 커맥 셋업하기
전제 : *자신의 커맥시스템이 기본적으로 그래픽을 제외하고는 잘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만약 본인의 시스템 커맥설치에서 BIOS부분이나 기타 부분에서 오류가 있을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시스템은 퀵싱크를 지원하는 CPU + 외장 그래픽카드로 구성되어있어야 합니다. 그래픽카드가 없거나 노트북이시라면 다른설정이 필요합니다.
1)BIOS 셋팅엔 이렇게 그리고 PCIe1 혹은 PICe2 (자신의 GPU설치 위치에따라. CPU가까운쪽이 1번) 우선 부팅으로 설정합니다

2)최신 LILU Wharevergreen KEXT를 /EFI/EFI/Clover/Kexts/Others 에 설치합니다.
https://github.com/acidanthera/Lilu/releases
https://github.com/acidanthera/WhateverGreen/releases
3)본인의 /EFI/EFI/Clover/Kexts, 혹은 /Library/Extensions 를 확인하여 아래의 KEXT들이 있다면 제거합니다 (LILU/WEG 로인해 불필요해진 KEXT들입니다)
IntelGraphicsDVMTFixup
IntelGraphicsFixup
NvidiaGraphicsFixup
CoreDisplayFixup
Shiki
AzulPatcher4600
4)Clover Configurator 의 Acpi 탭에서 아래 사항들이 있다면 지워주세요 (LILU/WEG 로인해 불필요해졌습니다.)
Change/Rename GFX0 to IGPU
Change/Rename PEG0 to GFX0
Change/Rename HECI to IMEI
5)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7)Hackintool 을 설치합니다
https://www.tonymacx86.com/threads/release-hackintool-v1-8-3.254559/
8) 본인 시스템의 칩셋에 맞는 PlatformID를 확인하고 기록해 놓습니다
Coffee Lake CPU - Only for MacOS 10.13.6 (17G2112+) and 10.14.X
UHD-630 IGPU = 0x3E910003 (0x3E920003)
8세대는 0x3E910003
9세대는 0x3E920003 로 우선 시도하세요
Kaby Lake CPU
HD-630 IGPU = 0x59120003
SkyLake CPU
HD-510 IGPU = 0x19020001
GT2f IGPU = 0x19170001
HD-530 IGPU = 0x19120001
Iris Pro 580 = 0x19320001
Haswell CPU
HD-4600 IGPU = 0x04120004 or 0x0412000B
Ivy Bridge CPU
HD-4000 IGPU = 0x01620006 or 0x01620007
Sandy Bridge CP
HD-3000 IGPU = 0x00030030
9. Hackintools 를 실행합니다
a)처음 실행하면 아래와같은 화면을 접하게됩니다

b) Menu bar 에서 프레임버퍼를 클릭하여 macOS 10.14를 선택합니다 (Mojave 기준)
선택하면 비어있던 칸이 채워지며 각종 정보가 나옵니다.
본인의 쳅셋과 맞는지 확인합니다
자신의 메인보드 칩셋을 선택합니다 (저는 i7 8700 커피레이크이므로 커피레이크를 선택했습니다)
아래 화면에서는 아직 플랫폼아이디를 선택하지않아 기종이 Macmini8.1이라고 나오는군요
5-5) 항의 Platform-id 중 자신의 칩셋에 맞는 값을 선택해줍니다
c) 제 칩셋인 CoffeLake 에 맞는값인 0x3E910003 를 선택했더니 아래와같이 변경됩니다
오~~ 이제 프레임버퍼 정보에 데스크탑이라고 나오는군요

d) 우리는 Headless 모드임으로 VRAM/Framebuffer 설정이 필요없습니다 바로 Connectors탭으로 이동합니다
우리가 선택한 platform-id 가 headless mode 이므로 인덱스 값이 -1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즉 포트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표기입니다
만약 아래와같이 나오지않는다면 똑같이 만들어주세요

e) 아래의 예와같이 선택합니다


f) 자 이제 generate patch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접하게 됩니다

g) 자 여기서 부터.......중요 ^^
clover Confogurator를 이용하셔서 본인의 EFI파티션을 마운트해주시고
/EFI/EFI/Clover/ 폴더의 config.plist를 데스크탑에 복사해주세요. 그리고 아래와 같이 Export 합니다

h) 아래와같이 변경된 config.pilist 가 생성되며 기존의 config.plist는 config-backup.plist 로 변경되어 보존됩니다

i) h항의 config.plist와 config-backup.plist를 /EFI/EFI/Clover/에 복사해 넣습니다 (혹 잘못되었을시 config-backup.plist로 부팅가능합니다 )
7. SMBIOS의 선택
3.항에서 설명했듯 Headless Mode는 기본적으로 iMac을 모사합니다. 그러므로 SMBIOS도 아이맥을 추천합니다
Coffee & Kaby Lake CPU = imac18,x
SkyLake CPU = imac17,x
Haswell CPU = imac14,x or imac15,x
Ivy Bridge CPU imac13,x
Sandy Bridge CPU = imac12,x
*재부팅합니다 (두근두근하시리라 믿습니다 ^^)
8. iGPU 활성화 검증
커맥설치시 제일 궁금한점 중 하나라면 이게 제대로 돌아가고 있을까 ? 하는점이죠
a) VDADecoderChecker 를 다운받아 실행합니다. 아래 예시와 같이 나와야합니다. Gen75는 CPU에 따라 다른값이 나옵니다.
https://github.com/cylonbrain/VDADecoderCheck
(iMac 2014)

(CustomMac i7-8700)

(맥북프로는 다르게 나옵니다 왜냐하면 모니터가 iGPU 에 연결되어있는 즉 온라인 상태이기떄문이죠)

b. IORegistryExplorer로 확인해봅니다
IORegistryExplorer Download : https://x86.co.kr/kext/3192042
Custom Mac i-7 8700

imac 2014 Late

맥북프로는 역시 다르군요 프레임버퍼가 활성화되어있습니다
c. VideoProc 로 확인해봅니다.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는 훌륭한 앱입니다 (체험판으로도 확인가능합니다)
Graphics 가 Intel UHD630으로 나올겁니다. 괜찮습니다. 일단 가속만 확인합니다
2항을 다시 확인하시면 자신의 CPU 종류에 따라 H265가속은 불가로 나올수있다는걸 아시겠죠 !
https://www.videoproc.com/

d. FinalCut X 에서 가속을 확인해 봅니다
잘 설정된 Headless 모드에서는 파컷이 정상 동작합니다. 파컷이 실행되지않는다면 무언가 문제가 있는겁니다
(H264출력 Intel 파워가젯상 노란색 그래프가 iGPU의 동작 클럭을 보여줍니다. iGPU와 RX580둘다 일 잘하는군요)

(HEVC H265출력 Intel 파워가젯상 노란색 그래프가 iGPU의 동작 클럭을 보여줍니다. iGPU와 RX580둘다 일 잘하는군요)

(라이브러리로 Import한 H264 파일들을 Proress로 Transcode 하는중입니다. iGPU와 RX580둘다 일 잘하는군요)

(proress 출력 iGPU는 일을 않하고 RX580는 일 잘하는군요
정상입니다. 현재 제 프로젝트 내의 모든 파일들은 이미 Proress로 transcode 되어있는 상태여서 퀵싱크가 할일이없는겁니다)

e. VLC 에서 HEVC(H265) 가속을 확인해 봅니다
iiNA, Movist 같은 좋은 영상 플레이어들이 있지만 VLC가 HEVC 하드웨어 가속에서만은 최고입니다. 팬소음없는 조용한 영화감상을 위해 추천합니다
(iGPU 및 RX580같이 일 질하는군요. CPU 점유율이 6%로 극단적으로 낮습니다. 당연히 CPU 온도도 낮네요 ^^)
수정 첨가 : 아래 파일은 HEVC(H265) 10bit color depth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카비레이크 7xxx CPU부터 9xxx CPU 까지의 CPU만 정상플레이됩니다
스카이레이크 CPU 즉 HD530 iGPU 부터 그 이전버전은 끊기고 제대로 플레이되지않습니다,
vlc 다운로드 링크 https://www.videolan.org/vlc/download-macosx.html
예제 영상 다운로드 링크 https://4kmedia.org/samsung-travel-with-my-pet-hdr-uhd-4k-demo

f. Davince Resolve 15, Adobe Premiere Pro 에서도 iGPU+RX580 으로 잘 가속되는것을 확인했습니다
(글이 너무 길어집니다.....스크린샷은 생략하겠습니다. 믿어주세요^^ )
8. config.plist 예시
현재 제가 사용하고있는 config.plist 입니다




9. 결론과 미결
가능하면 쉽게 따라하실 수 있도록 작성 하였으나. 분명히 똑같이 따라했는데 않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경우 설치과정 어딘가에 자신도 모르는 작은 실수를 한경우가 많습니다, 차분히 처음부터 하나하나 꼼꼼히 확인해보시길 권합니다.
UNIX 시스템과 애플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기반지식이 없는 제게 시행착오법만이 유일한 문제해결방식이었습니다.
Adobe Photoshop, Lightroom을 위한 GPU우선권 문제는 다음(?)에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Safari에서 NETFLIX실행은 제게는 Shangri-la 같은 곳이네요 ^^
내장 iGPU와 외장 dGPU를 헤드레스모드로 활성화한 상태로 넷플릭스를 사파리에서 1080p로 감상하는것은 아직 솔루션이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고수분들이 해결법을 찾으시길 기대해볼수밖에요. 혹 해결법을 찾으신분은 꼭 팁란에 올려주세요 ^^

정말 지난 한달간 엑팔과 Tonymac을 뒤져 가능한 모든 글들을 읽어보고 실험해보았으나
제가 이해하고 있는것들이 완전치 않거나 오류가 있을 수 도 있습니다. 그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이것으로 제가 커맥을 새로 빌드하면서 겪었던 두가지 어려움 즉 iGPU와 dGPU 동시 사용 문제와 USB3.0설정 문제 모두에 대해
글을 작성을 했습니다.
USB 3.0 설정하기
https://x86.co.kr/tiplus/3132829


JAKARTA | 2019.01.08
짧은 지식으로 오류 만발 했던 기존글은 폐기하겠습니다
https://x86.co.kr/tiplus/3121122
설치하신 dGPU 즉 외장 그래픽의 전력관리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x86.co.kr/kext/3251378

JAKARTA | 2019.02.10
엑팔에서 얻은 모든것들에 작지만 보답이 되었길 그리고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시길 바래봅니다.
제가 아는 대부분의 지식은 엑팔에 게시된 많은분들의 팁글과 질문에 대한 답글 그리고@ZISQO @ZISTonymac.com 에서
얻은 정보도 많이 참조하였습니다.
많은 엑팔 선구자 분들께 다시한번 감사하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
마지막으로 본 게시물과 관련된 Tonymac 의 글을 링크합니다. 제글에서 부족한 부분은 원전을 보시고 채우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S. 이글은 i7 8700/GA-Z390 Designare/AMD RX580 및 i7 4790K/GA-Z97x-UDH3/RX580 으로 설치하여 작동을 확인하였고
리얼맥과의 작동 비교를 위해 iMac 2014 Late CTO i7 4790K 및 Macbook Pro 15" 2016을 사용하였습니다.
정말 바이블 같은 Disignare 보드 설치 가이드입니다 참고하세요 ^^
https://www.tonymacx86.com/threads/an-idiots-guide-to-lilu-and-its-plug-ins.260063/
PS: 수정 2019.3.15 - Macbook Pro 15" 2016 사례 추가
수정 2019.3.18 - VLC 플레이 예제파일에 대한 설명 추가
이 글이 마음에 들면 사이다(10P) | 글쓴이 다른 글 알림이 필요하면 팔로우(10P) | 이 글을 다시 볼려면 KEEP | 이 글이 부적절 하다면 고구마